Aquerytool로 인스타그램 erd 설계하기
Aquerytool 접속1

새로운 ERD 클릭

DB 타입 설정하고 ERD 이름, 데이터 베이스 이름 자유롭게 적어준 뒤 수정 버튼
다음은 옵션 설정


위와 같이 설정해준다
테이블 생성
> 마우스 우클릭 + 테이블 추가=

AI : 데이터를 추가할 때마다 자동으로 1씩 추가해줌 -> PK는 중복되면 안되기 때문에 AI를 꼭 추가해주자
NULL : NULL값 허용 여부
유저 테이블을 만들어 보자

사진은 db에 url 형식으로 저장함 ->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
createdAt, updatedAt : 언제 수정? 언제 업데이트?
게시물 사진
게시물 테이블에 게시물 사진을 넣는다고 생각해보자. 게시물에 A사진, B사진, C사진이 있다고 가정해보면, 1번 게시물에 있는 데이터들이 A,B,C를 나타내기 위해 계속 중복된다. -> 정규화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
그래서 게시물 사진은 테이블로 따로 관리 해야함

지금까진 만든 ERD를 RDS에 생성해보자


각 테이블 밑에 있는 메뉴에서 테이블 생성 SQL을 누르고 복사해서
Datagrip을 실행시켜준 뒤

Query Console에서 실행시켜주면 된다!

키워드 정리
> ERD
[DB] 📚 데이터 모델링 개념 및 📈 ERD 다이어그램 그리는법 (1:N 관계)
데이터 모델링 이란? 데이터 모델링이란 정보시스템 구축의 대상이 되는 업무 내용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걸 의미한다. 그리고 이렇게 분석된 모델을 가지고 실
inpa.tistory.com
> Query
query의 사전 의미는 질문하다 문의하다이다.
즉 query는 데이터베이스에게 특정한 데이터를 보여달라는 클라이언트(사용자)의 요청을 말한다.
* 쿼리문을 작성한다 = 데이터베이스에세 원하는 정보를 가져오는 코드를 작성한다.
'Server > UMC 2기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C] Server 6주차 Restful API와 프레임워크 (0) | 2022.04.30 |
---|---|
[UMC] Server 5주차 *실습* 데이터베이스 쿼리 실습 / 인스타그램 쿼리문 작성하기 (0) | 2022.04.29 |
[UMC] Server 4주차 *실습* AWS RDS 구축하기 / DataGrip로 RDS 에 접속하기 (0) | 2022.04.06 |
[UMC] Server 4주차 RDBMS / 데이터모델링 / 인스타그램 설계 예시 (0) | 2022.04.05 |
[UMC] Server 3주차 *실습* Ubuntu Nginx에서 도메인, 서브 도메인, 리다이렉션 적용 / HTTPS Let's Encrypt 설정 (0) | 2022.03.30 |
Aquerytool로 인스타그램 erd 설계하기
Aquerytool 접속1

새로운 ERD 클릭

DB 타입 설정하고 ERD 이름, 데이터 베이스 이름 자유롭게 적어준 뒤 수정 버튼
다음은 옵션 설정


위와 같이 설정해준다
테이블 생성
> 마우스 우클릭 + 테이블 추가=

AI : 데이터를 추가할 때마다 자동으로 1씩 추가해줌 -> PK는 중복되면 안되기 때문에 AI를 꼭 추가해주자
NULL : NULL값 허용 여부
유저 테이블을 만들어 보자

사진은 db에 url 형식으로 저장함 -> 텍스트 형식으로 저장
createdAt, updatedAt : 언제 수정? 언제 업데이트?
게시물 사진
게시물 테이블에 게시물 사진을 넣는다고 생각해보자. 게시물에 A사진, B사진, C사진이 있다고 가정해보면, 1번 게시물에 있는 데이터들이 A,B,C를 나타내기 위해 계속 중복된다. -> 정규화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
그래서 게시물 사진은 테이블로 따로 관리 해야함

지금까진 만든 ERD를 RDS에 생성해보자


각 테이블 밑에 있는 메뉴에서 테이블 생성 SQL을 누르고 복사해서
Datagrip을 실행시켜준 뒤

Query Console에서 실행시켜주면 된다!

키워드 정리
> ERD
[DB] 📚 데이터 모델링 개념 및 📈 ERD 다이어그램 그리는법 (1:N 관계)
데이터 모델링 이란? 데이터 모델링이란 정보시스템 구축의 대상이 되는 업무 내용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걸 의미한다. 그리고 이렇게 분석된 모델을 가지고 실
inpa.tistory.com
> Query
query의 사전 의미는 질문하다 문의하다이다.
즉 query는 데이터베이스에게 특정한 데이터를 보여달라는 클라이언트(사용자)의 요청을 말한다.
* 쿼리문을 작성한다 = 데이터베이스에세 원하는 정보를 가져오는 코드를 작성한다.
'Server > UMC 2기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C] Server 6주차 Restful API와 프레임워크 (0) | 2022.04.30 |
---|---|
[UMC] Server 5주차 *실습* 데이터베이스 쿼리 실습 / 인스타그램 쿼리문 작성하기 (0) | 2022.04.29 |
[UMC] Server 4주차 *실습* AWS RDS 구축하기 / DataGrip로 RDS 에 접속하기 (0) | 2022.04.06 |
[UMC] Server 4주차 RDBMS / 데이터모델링 / 인스타그램 설계 예시 (0) | 2022.04.05 |
[UMC] Server 3주차 *실습* Ubuntu Nginx에서 도메인, 서브 도메인, 리다이렉션 적용 / HTTPS Let's Encrypt 설정 (0) | 2022.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