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CS

[CS 면접 준비] 컴퓨터 네트워크 (5)

1️⃣ 쿠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쿠키란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쿠키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어 브라우저에 저장되며, 이후에 같은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마다 쿠키는 요청과 함께 서버에 전송됩니다. 이를 통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추적하고, 로그인 정보나 사용자 설정 등을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쿠키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 유지가 가능해지므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쿠키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기 전에 브라우저에서 처리되므로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요청시 쿠키값을 그대로 보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며, 쿠키의 크기가 클 경우 네트워크 ..

CS

[CS 면접 준비] 컴퓨터 네트워크 (4)

1️⃣ IP주소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인터넷에서 컴퓨터나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IP 주소는 컴퓨터가 인터넷상에서 서로 통신할 때, 발신지와 수신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IPV4와 IPV6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IPv4는 한 자리당 0~255까지 8비트로 표현이 가능하며, 총 32비트를 가진 IP번호 체계 입니다. 대략 40억 개로 표현할 수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주소를 사용하고 있어, IPv6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IPv6는 총 128비트 체계로써, 한 자리당 16비트 씩 8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IPv6는 IP번호를 나타내는 것 뿐 아니라 QoS 요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며, 보안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CS

[CS 면접 준비] 컴퓨터 네트워크 (3)

1️⃣ TCP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TCP는 데이터의 정확한 전달을 중시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데이터 전송에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분할하고, 전송 속도를 조절하며,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경우 재전송을 합니다. TCP는 웹이나 이메일과 같이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하는 통신에서 사용됩니다. 통신을 맺고 끊는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확인 절차를 거치는데, 이러한 특징으로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2️⃣ 3 way handshake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TCP통신은 커넥션을 맺는 단계는 3단계로 진행되며 이를 3방향 핸드셰이크 라고 부릅니다. 커넥션이 맺어지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요청(syn)을 하고 클라이언트는..

CS

[CS 면접 준비] 컴퓨터 네트워크 (2)

1️⃣ HTTP HTTP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는 HTTP를 사용하여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합니다. HTTP의 요청/응답 모델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보내고, 이 요청 메시지는 요청 라인, 요청 헤더, 요청 본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냅니다. 이 응답 메시지는 상태 라인, 응답 헤더, 응답 본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보낸 후 서버에서 응답을 받을 때까지 대기하고, 서버는 요청을 받은 후 해당 요청을 처리한 후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냅니다. 이러한 요청..

CS

[CS 면접 준비] 컴퓨터 네트워크

1️⃣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컴퓨터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다른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대규모 컴퓨터 네트워크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 세계의 정보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WWW(World Wide Web)는 인터넷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서비스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웹 페이지와 같은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2️⃣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 놓은 약속, 규약입니다. 3️⃣ OSI 7 Layer에 ..

CS

gdb로 register와 memory 변화 확인하기

1. gdb를 실행할 파일을 만들어준다. 나는 다음과 같은 코드의 파일을 만들어 줬다 2. 컴파일 gcc -m32 -g -o ex1 ex1.c gdb 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g 옵션을 추가해줘야함! 3. gdb 실행 gdb ex1 set disassembly-flavor intel : intel의 어셈블리 코드 문법을 사용하겠다는 명령어 disassemble main : main 함수의 어셈블리 코드를 보는 명령어 display register : 해당 register의 메모리값을 출력해달라는 명령어 b *0x804841c : 해당 주소에 breakpoint를 걸겠다는 명령어 (여기선 main의 첫번째 instruction주소를 사용함) r : 프로그램 수행!하는 명령어 ni : 다음 instructio..

허지렁이
'C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