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 화폐 Cryptocurency
비트 코인 및 비트코인 기술 기반의 전자화폐를 구현할 때 전자 서명, hash chain 등 암호학 기반 기술을 많이 사용한다.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화폐도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므로 이들을 통칭해 암호화폐라고 한다.
비트 코인 Bitcoin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가 제안한 전자화폐 시스템. 기존 전자화폐와 달리 관리자가 없이도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분산 시스템이다.
블록 체인 Blockchain
관리자 없이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분산 시스템 기술. 화폐 거래 내역을 block이라는 데이터 단위로 저장한 후 해당 block의 hash value를 다른 블록에 저장시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를 만든다. 상황에 따라 관리자가 존재하는 시스템이나 블록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도 있다고 한다.
주소 Address
공개 키 암호로 암호화폐를 받거나 보내는 단위로 다루는 임의 문자열. 공개 키를 바탕으로 만들고 비밀 키가 있는 프로그램으로 암호화폐의 이용 권한을 얻을 수 있다.
지갑 Wallet
암호화폐 거래에 필요한 개인 키를 저장한 공간. 암호화폐 자체는 블록체인에 공유해 저장한다.
거래 Transaction
일반적으로 시스템 안에서 더 나눌 수 없는 처리 단위. 블록체인에서는 코인과 토큰 소유권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뜻한다. 작성자가 전자 서명을 적용해 코인 및 토큰 발행을 증명하거나, 내용을 조작한 사실이 없음을 보장하는 데 사용한다.
블록 Block
여러 transaction을 모아 만든 데이터 단위. transaction을 block에 저장하면 올바른 거래인지 검증하며, PoW와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double spend을 막는다.
해시 값 Hash Value
암호화폐를 구분하는 작은 크기의 데이터. 원본 데이터에서 해시값을 계산하는 함수를 hash function이라 한다. 해시 값과 원래 입력값의 관계를 찾기 어렵게 만드는 hash function은 별도로 cryptographic hash function이라고도 한다. 암호화폐의 블록 생성이나 주소 계산 등에서 암호화 해시 함수로 만든 해시값을 많이 사용한다.
채굴 Mining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누구나 새로운 블록 생성에 참여해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얻는데, 이러한 행동을 채굴이라고 한다. 채굴에 참여한 사람은 채굴자 miner라고 한다. 참고로 블록체인 시스템은 참여한 사람이 모니터링과 운영을 담당하는 구조이다.
작업 증명 알고리즘 Proof of Work
임의의 참여자들이 상호 운영하는 시스템은 시스템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참여자가 있어도 제대로 동작하게 만들어야 한다. PoW는 채굴했다는 사실을 증명한 후 에 블록을 생성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즉 증명 없이는 블록을 생성할 수 없게하는 역할을 한다.
합의 알고리즘 Consensus
분산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가 같은 결괏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consensus라고 한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막고 무결성을 보장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누구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블록의 소유권과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블록의 높이가 클수록 확정한 거래 내역이 바뀔 확률이 낮아지는 알고리즘을 도입해 관리자가 없는 분산 시스템을 구현한다.
! 참고 !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EC2 ] Nginx를 활용해 FastAPI + PyTorch 배포하기 (0) | 2023.11.22 |
---|---|
[AWS lightsail] 인스턴스 / 데이터 베이스 생성 (0) | 2023.07.20 |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0) | 2023.04.05 |
AWS S3 버킷 만들기 (0) | 2023.01.11 |
암호 화폐 Cryptocurency
비트 코인 및 비트코인 기술 기반의 전자화폐를 구현할 때 전자 서명, hash chain 등 암호학 기반 기술을 많이 사용한다.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화폐도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므로 이들을 통칭해 암호화폐라고 한다.
비트 코인 Bitcoin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가 제안한 전자화폐 시스템. 기존 전자화폐와 달리 관리자가 없이도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분산 시스템이다.
블록 체인 Blockchain
관리자 없이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분산 시스템 기술. 화폐 거래 내역을 block이라는 데이터 단위로 저장한 후 해당 block의 hash value를 다른 블록에 저장시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를 만든다. 상황에 따라 관리자가 존재하는 시스템이나 블록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도 있다고 한다.
주소 Address
공개 키 암호로 암호화폐를 받거나 보내는 단위로 다루는 임의 문자열. 공개 키를 바탕으로 만들고 비밀 키가 있는 프로그램으로 암호화폐의 이용 권한을 얻을 수 있다.
지갑 Wallet
암호화폐 거래에 필요한 개인 키를 저장한 공간. 암호화폐 자체는 블록체인에 공유해 저장한다.
거래 Transaction
일반적으로 시스템 안에서 더 나눌 수 없는 처리 단위. 블록체인에서는 코인과 토큰 소유권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뜻한다. 작성자가 전자 서명을 적용해 코인 및 토큰 발행을 증명하거나, 내용을 조작한 사실이 없음을 보장하는 데 사용한다.
블록 Block
여러 transaction을 모아 만든 데이터 단위. transaction을 block에 저장하면 올바른 거래인지 검증하며, PoW와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double spend을 막는다.
해시 값 Hash Value
암호화폐를 구분하는 작은 크기의 데이터. 원본 데이터에서 해시값을 계산하는 함수를 hash function이라 한다. 해시 값과 원래 입력값의 관계를 찾기 어렵게 만드는 hash function은 별도로 cryptographic hash function이라고도 한다. 암호화폐의 블록 생성이나 주소 계산 등에서 암호화 해시 함수로 만든 해시값을 많이 사용한다.
채굴 Mining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누구나 새로운 블록 생성에 참여해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얻는데, 이러한 행동을 채굴이라고 한다. 채굴에 참여한 사람은 채굴자 miner라고 한다. 참고로 블록체인 시스템은 참여한 사람이 모니터링과 운영을 담당하는 구조이다.
작업 증명 알고리즘 Proof of Work
임의의 참여자들이 상호 운영하는 시스템은 시스템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참여자가 있어도 제대로 동작하게 만들어야 한다. PoW는 채굴했다는 사실을 증명한 후 에 블록을 생성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즉 증명 없이는 블록을 생성할 수 없게하는 역할을 한다.
합의 알고리즘 Consensus
분산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가 같은 결괏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consensus라고 한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막고 무결성을 보장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누구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블록의 소유권과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블록의 높이가 클수록 확정한 거래 내역이 바뀔 확률이 낮아지는 알고리즘을 도입해 관리자가 없는 분산 시스템을 구현한다.
! 참고 !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EC2 ] Nginx를 활용해 FastAPI + PyTorch 배포하기 (0) | 2023.11.22 |
---|---|
[AWS lightsail] 인스턴스 / 데이터 베이스 생성 (0) | 2023.07.20 |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0) | 2023.04.05 |
AWS S3 버킷 만들기 (0) | 2023.01.11 |